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불사조(Phoenix)

불사조의 이야기는 매우 전설적이며, 현대에 알려진 신화중 가장 잘 알려진 신화중 하나일 것입니다. 불사조에 관한 전설은 항상 삶과 죽음, 창조와 파괴, 시간, 제국, 부활, 그리스도 등, 여러 요소로 유명합니다.

불사조는 눈물에 치유력이 있으며, 불사조 앞에서 누구도 거짓말을 할 수 없다고 합니다. 이 세상의 새들과 다른 식생활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반 새들이 먹는 과일과 견과류 대신, 불사조는 유황과 올리바늄을 먹는다고 합니다.


불사조는 수백 년을 살다가 화염에 휩싸여 죽어가다 잿더미에서 다시 태어나는 능력으로 매우 잘 알려진 전설적인 존재입니다. 가장 흔한 신화에 따르면 불사조는 낙원에 살았던 독수리나 공작과 비슷한 밝은색의 불멸의 새와 같은 생물이었다고 합니다. 낙원에 사는 다른 모든 생물과 마찬가지로 영원한 삶과 좋은 삶을 살았습니다. 낙원은 상상할 수 없는 완벽함과 아름다움의 땅으로 태양의 찬란함을 넘어선 어딘가에 존재한다고 합니다. 시간이 지나면서 새는 삶에 대한 고찰과 세월의 영향을 느끼기 시작했습니다. 약 천년 후, 불사조는 불멸에 지쳐서 계속 나아가고자 하였고, 결국 낙원을 떠나 필멸의 세계로 향했다고 합니다. 

필멸의 세계에서도 불사조는 진정으로 죽을 수 없었습니다. 헬리오폴리스에서 둥지를 틀고 해가 뜨기를 기다렸다, 태양신이 마차를 끌고 하늘을 가로질러 갈 때, 불사조는 태양신 아폴로가 멈추어 귀를 기울일 정도로 아름다운 노래를 불렀습니다. 아폴로는 불사조의 의중을 이해하고 여행을 재개했을 때, 하늘에서 불꽃이 떨어져 둥지에 불을 붙이고 불사조를 집어삼켰습니다, 하지만 3일 후 불사조는 잿더미에서 다시 태어나 천년을 더 살게 되었습니다.

불사조 전설의 가장 초기 버전은 고대 이집트에서 유래했습니다. 베누(Bennu)라고 불리는 왜가리 새는 태양신 라(Ra)와 연결되어 지하 세계의 신인 오시리스(Osiris)의 살아있는 상징으로 여겨졌습니다. 베누는 나일강의 범람을 통해서 주변의 땅을 비옥하게 하였습니다. 이러한 행동들을 통해 베누는 중생과 불멸의 상징이 되었습니다. 그리스의 역사가 헤로도토스는 화염 속에서 죽어가는 늙은 새와 그 새끼가 잿더미에서 나오는 것에 대해 썼으며, 그리스 신화에서 불사조는 영혼이 죽은 후에도 살아 환생하여 새로운 삶을 시작한다며, 영혼의 윤회를 이야기했습니다.


아시아에서 불사조는 보통 봉황으로 불렸으며, 여성적인 우아함의 상징이었습니다. 봉황은 보통 중국의 황후들을 상징하였습니다. 불사조를 발견하는 것은 행운의 표시로 여겼으며, 매우 현명한 지도자에게 통지권이 주어진다는 의미로 여겼습니다. 힌두교 신화에서 가루다는 비슈누 신이 타는 태양의 새이며, 새의 왕으로 묘사됩니다. 슬라브 신화에서는 매의 모습을 한 불사조가 있는데, 이를 불새(Fire Bird)라고 했습니다. 불새의 수명 주기는 가을이 되면 죽음을 맞이하고 봄이 되면 되살아나는 주기를 가졌습니다.



유대 전통에는 아담과 이브가 함께 에덴 동상에서 살았던 밀참(Milcham)이라는 새가 있습니다. 전설에 따르면 이브는 동산의 많은 동물에게 금단의 열매를 주었고, 밀참(Milcham)은 이브의 유혹에 저항한 동물 중 하나였습니다. 보상으로 영생을 허락받았지만 천년마다 다시 태어나야 했습니다. 기독교 전통에서 불사조는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부활을 상징하는 것으로 묘사됩니다. 일설에는 불사조는 우주의 빅뱅 결과로 지구의 생성과 궁극적인 파괴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하기도 합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판타지: 아오( 鳌)

중국의 신화에 나오는 산과 대륙을 떠받치는 고대 거북입니다. 중국의 신화에서 천하가 창조되는 시기에 남중국해에 살았던 생물이며, 인류를 창조한 여와 여신이 많은 재앙과 재난 후 하늘을 수리할 때, 아오의 네 다리를 잘라 하늘을 떠받치는데 사용했다고 전해집니다.

진실만을 전달하라

오직 진실만을 전달하라 개인생활과 직장생활에서 사람들이 자기 생각을 솔직하게 있는 그대로 말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던 적이 있는가? 그들이 솔직하지 않았을 때, 그들에 대한 신뢰는 어땠는가? 그들이 솔직했을 때, 그들에 대한 신뢰는 어떻게 되었는가? '솔직하게 말하라'는 정직성을 행동으로 보이는 것이다. 이는 성실성, 정직성, 솔직성의 원칙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진실을 말하고 말 뜻을 제대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혹 진실을 말하고도 말 뜻을 잘못 전달할 수도 있다. 말 뜻을 제대로 전달한다는 것은 오해가 없도록 분명하게 말하는 것을 의미 한다. 워렌 버핏 역시 솔직하게 말하는 타입이다. 그는 매년 회사의 연례 보고서에 첨부되는 경영자 편지에 사실을 있는 그대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이런식이다. 나는 몇 번 이런 거래를 했습니다. 그리고 내 행동은 결국 회사에 손해를 불러왔습니다. 나는 지난해 그 일을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우리가 이미 확보한 수익원 외에 새로 굵직한 수익원을 추가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기업을 여러 개 인수하려 했지만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그 사업을 매각하고자 했지만 상황에 정면 대응하지 못해 몇 년을 그냥 흘려보내고 말았습니다. 이처럼 지체된 것은 내 잘못입니다. 솔직함과 반대로 거짓말을 하거나 속이는 행동은 즉시, 혹은 나중에 거짓임이 드러났을 때 부정적인 엄청난 결과를 만들어낸다. 사람들은 대개 노골적으로 거짓말을 하진 않는다. 최소한 뻔뻔하지는 않다는 애기다. 대신 솔직히 말하는 척 가짜 행동을 한다. 가짜 행동에는 에둘러 말하기, 정보 숨기기, 한 입으로 두 말하기, 아첨, 선전, 시늉만 하기 등이 포함된다. 그중 으뜸은 다른 사람의 생각, 감정, 행동을 조작 및 왜곡하는 것이다. 또 다른 가짜 행동은 진실을 말하되 말뜻을 잘못 전달하는 것이다. 겉으로 점잔을 빼면서 쓸데없이 자세히 말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모든 행동은 늘 신뢰를 떨어뜨린다. 가정에서 솔직하게 말하기 솔직하게 말하는 것은 조직은 물론 개...

쿤 아눈(Cŵn Annwn)

오늘 소개해드릴 괴물은 웨일스 신화와 민담에 나오는 쿤 아눈입니다. 쿤 아눈은 웨일지 신화의 지하 세계의 암흑 왕인 그윈압누드(누드의 아들 그윈 또는 아라온으로도 불립니다)의 정령 사냥개, 또는 다른 세계로 여행하는 영혼의 호위자로 간주하였습니다. 지하 세계는 웨일스 신화의 다른 세계인데, 질병이 없고, 식량이 항상 풍부한 곳으로 기쁨과 영원환 젊음의 세계입니다. 이곳은 낙원으로 여겨졌고, 기독교인의 사후 세계와 동일시되었습니다. 신화에서 이 괴물은 피로 덮인 빨간 귀를 가진 크고 하얀 사냥개로 4마리가 한 그룹으로 묘사됩니다. 악한 정도에 따라 묘사가 약간 틀린 데, 사악한 종류로는 검은색에 거대한 붉은 반점이 있는 매우 못생긴 모습 또는 잉크가 튀는 것처럼 큰 검은 반점이 있는 몸에 색은 붉은색이 있으며, 최악은 용암과 같은 눈을 가졌으며 피처럼 붉은색에 피가 뚝뚝 떨어지는 모습이었다고 합니다. 이 하얀 정령 사냥개는 죽은 사람과 곧 죽을 사람들을 보거나, 그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사냥개들의 짖는 소리와 애절한 울부짖음을 듣는다는 것은 웨일스 신화에서 요정 왕인 그윈압누드이 영혼을 저승으로 데려가러 오고 있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살아 있는 사람이 쿤 아눈의 짖는 소리가 들린다며, 그것은 죽음이 임박한 것이며, 그 운명은 피할 수 없다고 합니다. 이 사냥개는 1년 중 특정한 밤에만 사냥하며 웨일스의 시골을 무리를 지어 돌아다녔다고 합니다. 특정한 밤은 웨일스의 달력 기준으로 성 요한의 날 이브, 성 마틴의 날 이브, 성 미카엘 대천사의 날 이브, 성도의 날 이브, 크리스마스, 새해, 성 아그네스의 날, 성 다비드의 날, 성금요일, 그리고 가을 절기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사냥개는 멀리서 더 크게 들리고, 목표물에 가까워지면 으르렁거리며 울부짖는 소리가 사라진다고 합니다. 마비노기란 웨일스 신화에서 웨일스 북부의 귀네드와 남부의 더베드가 치열한 전투의 이야기를 뜻하며 총 4부작으로 구성되어있다고 합니다. 마비노기의 1부작에서 더베드의 왕자 프윌는 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