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삼귀자(三貴子)

오늘은 일본 민속 신화에서 나오는 3명의 중요한 신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삼자라고 하는데, 태양의 여신인 아마테라스, 폭풍의신 스사오노, 달의 여신 쓰쿠요미에 대해 이야기하겠습니다.

일본의 초대 신인 이자나기가 죽은 아내인 이자나미를 구하려고 지하세계인 요미를 방문한 후 자신의 죄를 정화하기 위해 강에서 목욕했고, 왼쪽 눈을 씻었을 때 아마테라스가 먼저 나왔고, 오른쪽 눈을 씻었을 때 츠쿠요미가, 코를 풀고 씻었을 때 스사오노가 태어났습니다.


아마테라스(天照大御神)

일본의 고유 종교인 신토에서 나오는 팔백만 신들 중 최고위를 차지하는 여신입니다. 아마테라스는 "하늘에서 빛난다"라는 뜻이 있으며 보통 태양신, 농경신 등으로 불립니다. 기키(일본 신화 서적)에 따르면 아마테라스는 태양을 신격화 한 신으로 일본 왕실의 조상신의 일종으로 일컬어집니다. 신토내에서 신앙의 대상이자 토지의 제신으로 모셔진 신사로 이세신궁이 특히 유명합니다.

아마테라스는 태양신의 성격과 무녀의 성격을 겸비한 존재입니다. 일본에서 가장 중요한 신중 하나로, 모든 소원을 들어준다고 해, 소원 성취의 여신으로도 알려져 있습니다.

술에 취한 폭풍의 신 스사노오의 행패를 보다 못해 스스로 천상의 바위 동굴 속에 은둔하여 세상이 어둠으로 휩싸였는데, 지혜의 신 오모이카네가 그녀를 유인할 계획을 세웠고, 다른 신들이 춤을 추어 아마테라스의 호기심을 자극해, 스스로 동굴에서 나오게 하여 세상이 다시 밝아지자, 다른 신들이 동굴을 영원히 봉인해 아마테라스가 다시는 들어가지 못하게 하고 행패를 부린 스사오노는 책임을 지며 지상 세계로 추방되었다고 합니다.

아마테라스는 일본의 왕들에게 삼종신기인 구슬(가타마), 칼(츠루기), 거울(가가미)를 하사했으나, 일본의 왕 이외에는 삼종신기를 실제로 본 사람은 없다고 합니다


스사오노(素戔嗚)

아마테라스 여신의 남동생으로 다채로운 성격이다. 어머니인 이자나기의 나라에 가고 싶다고 울고 외치는 어린아이와 같은 면이 있지만 동시에 흉포한 일면도 있는 상반된 특성(선과 악)을 가진 신으로 묘사되며, 다양한 이야기에서 바다와 관련된 거칠고 성급한 신으로 설명됩니다. 폭풍우와 괴물 뱀 오로치를 물리친 영웅적인 인물, 수확과 농업에 관련된 지역 신으로서, 나중에는 역병과 질병의 신으로도 불리게 되었습니다.

일설로 어머니가 그리운 스사오노는 자신의 수염이 길어질 때까지 끊임없이 울고 울부짖으며 산을 시들게 하고 강을 메마르게 하였고, 화가 난 아버지인 이자나기는 스사오노을 신의 세계에서 추방했습니다.

스사오노는 이즈모땅에서 아시나즈치라는 노부부를 만나게 되었습니다. 노부부는 8명의 딸 중 7명의 딸이 야마타노 오로치로 알려진 머리 여덟 달린 괴물 뱀에게 잡아 먹혔다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여덟 번째 딸 또한 괴물 뱀에게 가까운 시일에 잡아 먹힐 거라고 말했습니다. 그들의 어려움과 곤경에 공감한 스사오노는 여덟 번째 딸인 쿠시나다히메를 빗으로 변신시켜 머리에 꽂았습니다. 그런 다음, 포도주를 마시게 하여 괴물 뱀을 취하게 하고 술에 취한 상태에서 괴물뱀 야마타노 오로치를 죽였습니다. 괴물 뱀의 가운데 꼬리를 베었을 때, 그의 날카로운 칼날이 부러졌고 이상하게 생각한 그는 크고 예리한 검이 꼬리 안에 있는 것을 찾아냈고 이 검을 아마테라스에게 선물합니다. 이 검의 이름은 쿠사나기입니다.


츠쿠요미(月読命)

츠쿠요미의 달의 신으로 성별은 불분명하지만, 남성으로 묘사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때, 츠쿠요미와 아마테라스가 결혼하여 달과 태양이 같은 하늘을 공유하였고, 음식의 여신인 우케모치가 아마테라스의 몸을 바다로 돌려 몸에서 물고기를 뱉어내고, 숲을 마주하게 하여 동물들을 뱉어내고, 논에서는 쌀 한 그릇을 토해 음식을 만드는 모습에, 츠쿠요미는 역겨운 방식으로 음식이 차려지는 방식에 혐오감을 느껴 우케모치를 죽였습니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아마테라스는 매우 분노하였고, 다시는 츠쿠요미를 쳐다보지 않도록 하늘의 다른 곳으로 영원히 이동했습니다. 이것이 밤과 낮이 결코 함께 하지 않는 이유입니다.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판타지: 아오( 鳌)

중국의 신화에 나오는 산과 대륙을 떠받치는 고대 거북입니다. 중국의 신화에서 천하가 창조되는 시기에 남중국해에 살았던 생물이며, 인류를 창조한 여와 여신이 많은 재앙과 재난 후 하늘을 수리할 때, 아오의 네 다리를 잘라 하늘을 떠받치는데 사용했다고 전해집니다.

진실만을 전달하라

오직 진실만을 전달하라 개인생활과 직장생활에서 사람들이 자기 생각을 솔직하게 있는 그대로 말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던 적이 있는가? 그들이 솔직하지 않았을 때, 그들에 대한 신뢰는 어땠는가? 그들이 솔직했을 때, 그들에 대한 신뢰는 어떻게 되었는가? '솔직하게 말하라'는 정직성을 행동으로 보이는 것이다. 이는 성실성, 정직성, 솔직성의 원칙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진실을 말하고 말 뜻을 제대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한다. 간혹 진실을 말하고도 말 뜻을 잘못 전달할 수도 있다. 말 뜻을 제대로 전달한다는 것은 오해가 없도록 분명하게 말하는 것을 의미 한다. 워렌 버핏 역시 솔직하게 말하는 타입이다. 그는 매년 회사의 연례 보고서에 첨부되는 경영자 편지에 사실을 있는 그대로 설명한다. 예를 들면 이런식이다. 나는 몇 번 이런 거래를 했습니다. 그리고 내 행동은 결국 회사에 손해를 불러왔습니다. 나는 지난해 그 일을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우리가 이미 확보한 수익원 외에 새로 굵직한 수익원을 추가하기 위해 수십억 달러 규모의 기업을 여러 개 인수하려 했지만 실패하고 말았습니다. 그 사업을 매각하고자 했지만 상황에 정면 대응하지 못해 몇 년을 그냥 흘려보내고 말았습니다. 이처럼 지체된 것은 내 잘못입니다. 솔직함과 반대로 거짓말을 하거나 속이는 행동은 즉시, 혹은 나중에 거짓임이 드러났을 때 부정적인 엄청난 결과를 만들어낸다. 사람들은 대개 노골적으로 거짓말을 하진 않는다. 최소한 뻔뻔하지는 않다는 애기다. 대신 솔직히 말하는 척 가짜 행동을 한다. 가짜 행동에는 에둘러 말하기, 정보 숨기기, 한 입으로 두 말하기, 아첨, 선전, 시늉만 하기 등이 포함된다. 그중 으뜸은 다른 사람의 생각, 감정, 행동을 조작 및 왜곡하는 것이다. 또 다른 가짜 행동은 진실을 말하되 말뜻을 잘못 전달하는 것이다. 겉으로 점잔을 빼면서 쓸데없이 자세히 말하는 것이 여기에 해당한다. 이 모든 행동은 늘 신뢰를 떨어뜨린다. 가정에서 솔직하게 말하기 솔직하게 말하는 것은 조직은 물론 개...

쿤 아눈(Cŵn Annwn)

오늘 소개해드릴 괴물은 웨일스 신화와 민담에 나오는 쿤 아눈입니다. 쿤 아눈은 웨일지 신화의 지하 세계의 암흑 왕인 그윈압누드(누드의 아들 그윈 또는 아라온으로도 불립니다)의 정령 사냥개, 또는 다른 세계로 여행하는 영혼의 호위자로 간주하였습니다. 지하 세계는 웨일스 신화의 다른 세계인데, 질병이 없고, 식량이 항상 풍부한 곳으로 기쁨과 영원환 젊음의 세계입니다. 이곳은 낙원으로 여겨졌고, 기독교인의 사후 세계와 동일시되었습니다. 신화에서 이 괴물은 피로 덮인 빨간 귀를 가진 크고 하얀 사냥개로 4마리가 한 그룹으로 묘사됩니다. 악한 정도에 따라 묘사가 약간 틀린 데, 사악한 종류로는 검은색에 거대한 붉은 반점이 있는 매우 못생긴 모습 또는 잉크가 튀는 것처럼 큰 검은 반점이 있는 몸에 색은 붉은색이 있으며, 최악은 용암과 같은 눈을 가졌으며 피처럼 붉은색에 피가 뚝뚝 떨어지는 모습이었다고 합니다. 이 하얀 정령 사냥개는 죽은 사람과 곧 죽을 사람들을 보거나, 그들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습니다. 사냥개들의 짖는 소리와 애절한 울부짖음을 듣는다는 것은 웨일스 신화에서 요정 왕인 그윈압누드이 영혼을 저승으로 데려가러 오고 있다는 의미라고 합니다. 살아 있는 사람이 쿤 아눈의 짖는 소리가 들린다며, 그것은 죽음이 임박한 것이며, 그 운명은 피할 수 없다고 합니다. 이 사냥개는 1년 중 특정한 밤에만 사냥하며 웨일스의 시골을 무리를 지어 돌아다녔다고 합니다. 특정한 밤은 웨일스의 달력 기준으로 성 요한의 날 이브, 성 마틴의 날 이브, 성 미카엘 대천사의 날 이브, 성도의 날 이브, 크리스마스, 새해, 성 아그네스의 날, 성 다비드의 날, 성금요일, 그리고 가을 절기를 의미한다고 합니다. 사냥개는 멀리서 더 크게 들리고, 목표물에 가까워지면 으르렁거리며 울부짖는 소리가 사라진다고 합니다. 마비노기란 웨일스 신화에서 웨일스 북부의 귀네드와 남부의 더베드가 치열한 전투의 이야기를 뜻하며 총 4부작으로 구성되어있다고 합니다. 마비노기의 1부작에서 더베드의 왕자 프윌는 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