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예제 코드: 임시 변수 사용
# 두변수를 바꾸는 예제 코드
x = 10
y = 20
#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는다.
#x = input('X의 값을 입력: ')
#y = input('Y의 값을 입력: ')
# 임시 변수를 생성하고 값을 교환
temp = x
x = y
y = temp
print('변수 교환 후 X의 값은: {}'.format(x))
print('변수 교환 후 Y의 값은: {}'.format(y))
실행 결과
변수 교환 후 X의 값은: 10
변수 교환 후 Y의 값은: 20
이 예제 코드에서, 우리는 temp 변수를 x의 값을 임시적으로 저장하도록 사용한다. 그런후, x 변수에 y의 값을 넣고 나중에, y 변수에 temp 변수를 넣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값이 교환됩니다.
2. 예제 코드: 임시 변수를 사용하지 않음
파이썬에는 변수를 교환하는 간단한 구조가 있습니다. 다음 코드는 위와 동일하지만 임시 변수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x = 10
y = 20
x, y = y, x ## x = y(20) , and y = x(10)
print("x =", x)
print("y =", y)
실행 결과
x = 20
y = 10
변수가 둘 다 숫자인 경우 산술 연산을 사용하여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첫눈에 직관적으로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코드를 천천히 확인하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다음은 몇 가지 예입니다.
덧셈과 뺄셈
x = x + y
y = x - y
x = x - y
곱셈과 나눗셈
x = x * y
y = x / y
x = x / y
XOR 스왑
이 알고리즘은 정수에 대해서
만 작동합니다.
x = x ^ y
y = x ^ y
x = x ^ y